§ 원 글 작성 정보 : 2010.08.28. 01:00 우여 곡절 끝에 KT로 번호이동을 하면서 이것저것 안붙은 옵션으로 출시된지 1년이나 지난 모델을 손에 쥐었다. ..;; (써놓고 보니 어감이 좀 그렇네 ..;;) 뭐 전화 요금이 얼마 안되는 사람이 달마다 3-5만원씩 내게 된다면 결국 폰 할부값으로 생각이 되어서 옮겼더니.. 아이폰4G가 나오는 세상에 조금 아쉽긴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펙은 한때 가지고 놀았던 Dell의 Axim x51v보다 발군. 하드웨어 성능이 금방금방 올라가는 세상이 되었긴 했나보다. WM6.5로 업그레이드 후에 x51v를 만지던 경험으로 햅틱 UI를 지우고 하루 밤낮을 이것저것 손대보다가 역시 '튜닝의 끝은 순정'이라는 불변의 진리를 가슴에 새기며, 벨소리와 배경정도 ..
웹서핑 중에 이제는 지원이 완전히 끊긴 Lumia 950에 Windows 10 on ARM을 올려 돌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어 주말을 맞아 한번 올려봤습니다. 참고한 가이드들이 2019/2020년도 여서 조금 불안하긴 했었는데 의외로 따라가는데 별 문제는 없었습니다. 유일한 문제점이라면 WPinternals 사이트가 폐쇄되어서 프로그램 구하기가 좀 어려웠다는 점 정도였을까요. 그나마도 구글에서 잠깐 뒤지니 어느분께서 올려두신 것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 준비물 ○ Lumia 950(XL) → 저는 들고 있는게 950이라 XL로는 못해봤습니다 ○ Windows 10 이미지 파일 iso (arm64) ○ WPinternals → 부트로더 언락용 ○ WOA.Deployer → 인스톨러 ○ 시간 → 넉넉하..
본가에 있던 FX-8120 본체가 전원이 깜박깜박하더니 결국 사망을 하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전원부 쪽인 것 같아서 적당히 부품 교체하고 계속 쓸까 하는 생각도 잠시 있었으나, 이 기회에 겸사겸사 라이젠으로 넘어가기로 했습니다. 게임은 거의 못할 것 같지만 일거리는 제 의사와 상관없이 따라올 수 있으니(;;) 적당한 CPU/RAM에 내장형 VGA로 가는 것으로 하고, 케이스는 현재의 BRAVOTEC 디파이 B45를 그대로 쓸까 하다가 VGA도 없는데 공간도 줄이고 베어본이면 되겠다 싶어 ASRock DeskMini X300 120W로 골랐습니다. 최종 사양은 고전게임, 헤비한 웹서핑, 적당히 부담스러운 엑셀 작업, VM 등을 고려한 결과 , ASRock DeskMini X300 Ryzen 3 PRO..
인텔의 Optane 메모리는 SSD 계열은 차치하고서라도, 가속장치로서는 별 재미를 못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인텔 계열 메인보드에서만 지원하는 데다가, M.2 슬롯을 하나 차지하는 16/32GB 가속장치를 굳이 사용하느니 그자리에 SATA3인터페이스라도 M.2 SSD를 하나 더 장착하는게 용량면에서 유리하긴 하지요. 이러한 사실이 가격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확언할 수 없겠지만, 일단 16GB Optane 메모리가 만원 이하의 가격으로 내려왔고 이번에 컴퓨터를 업그레이드 하면서 M.2 슬롯도 하나 빈 상태인지라 하나 질러서 HDD 가속이나 다른 활용처를 모색해 보기로 했습니다. 1. HDD 가속 실패 Optane 메모리는 기본적으로 HDD를 가속하는데 쓰면 됩니다. 그래서 원래는 저장용으로 사용하고 ..
SSD의 장점이라면 역시 속도와 정숙성이 아닐까 합니다. 물론 반대급부로 용량대비 가격이 HDD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이 비싸지요. 점차 대용량 SSD가 시중에 보급되면서 가격이 많이 하락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부팅용 이외의 데이터 저장용으로 SSD를 사용하기에는 다소간의 각오(?)가 필요한 가격이니깐요. 그래도 성능과 소음면에서 고용량 SSD를 포기하지 못하여 이리저리 눈팅을 하던 중에, 아마존에서 마이크론의 2TB(MTFDDAK2T0TBN-1AR1ZAB) SSD가 300불 중후반에 풀린 것을 발견하여 대략 40만원 조금 못 되게 구입하였습니다. (라쿠텐에서 더 싸게 종종 나온다고는 하는데 결제가 안먹혀서 포기했습니다.) ※ 1100에는 SED와 Non-SED 모델이 같이 있습니다. SED(Self-enc..
처음에 램 디스크 프로그램을 비교/추천했던 글을 쓴지가 벌써 20개월 가까이 되었습니다. 그 사이에 최초에 추천했던 SoftPerfect Ramdisk는 유료화가 되었고, 많은 프로그램이 버전업이 되었습니다. 최근에 Redstone 3로 클린설치를 하기 전에 다시 몇몇 램 디스크 프로그램을 깔아보고 벤치마킹을 해보았습니다. 저번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사례에 불과한 벤치마킹이지만 혹여 SoftPerfect Ramdisk 유료화 전환 이후 다른 프로그램을 고민하시는 분이 있다면 정보를 공유해 보고자 올리는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테스트 환경 및 프로그램 H/W S/W (CrystalDiskMARK 6.0.0 x64) 1. AMD Radeon RAMDisk (Link) - 유료 프로그램이지만 4GB까지..
몇달 전에 Titan Mark X로 키보드를 바꾸고 잘 적응해가던 중에, mStone의 이중사출 한글 PBT 키캡이 싸게 풀려서 질러봤습니다. Mark X의 원 키캡은 ABS에 영문만 이중사출이고 한글은 레이저 각인 방식이라 이 기회에 촉감과 내구성이 좋다는 PBT로 옮겨 가볼까 해서 주문했었지요. 알록 달록한 키캡이 도착하고, 일단 교체를 해보았습니다. 결과물을 대충 봤을 때는 괜찮은데, 자세히 보고 있으니 뭔가 어색합니다. E, F, R C 등 폰트 마감이 매우 부실합니다.... F키를 중심으로 비교를 해보았는데,, 폰트의 굵기도 일정치 않고 수직-수평도 잘 맞지 않아 자꾸 보다보니 눈에 거슬립니다. 촉감은 ABS와는 다른 PBT의 까끌까끌함이 느껴진다고 할까, 괜찮은 편이었는데 폰트 마감이 무척이나..
HDD 용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통신 속도가 빨라지면서 HDD 내부는 점차 미궁화가 진행되는 것 같습니다. 사실 이런 사태는 일찍부터 예견되어서, 한때는 구글 데스크탑/네이버 내PC검색/윈도우 데스크탑 검색 등등의 프로그램들이 많이 나왔었습니다. 다만 그때는 의외로 무거운 덩치와 인덱싱 등의 압박에 별로 인기를 끌지는 못했었죠. HDD 용량이 더 증가하고, 파일은 더욱 많아진 최근에는 데스크탑 검색 프로그램으로 Everything을 많이 쓰시는 듯 합니다. 빠르고, 가볍고, 결정적으로 프리웨어이기도 하구요. 특히 소프트웨어 라이센스에 매우 민감한 곳에서 사용 가능하다는 점은 큰 매력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할 Listary는 Everything과 견줄만한 데스크탑 검색 프로그램입니다. 역시 가볍고 빠..
윈도우의 기본 텍스트 에디터인 「메모장」은 그 단순함과 사용의 용이함으로 인해 많이들 쓰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윈도우의 버전이 높아지면서 「Sticky Notes」와 같은 프로그램도 같이 생겼지만, 아직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간단하게 작업하고 메모하기에는 메모장만한 프로그램이 잘 안보이는 것도 사실입니다. 글을 적고 있는 저도, 급하면 Win+R 키로 notepad를 입력해서 바로 쓰곤 합니다. 문제는 이 메모장 프로그램이 너무 단순하여 자동 저장이나 복원 기능이 없다보니, 종종 불의의 사태로 내용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수로 종료를 누른다거나, 저장을 안하고 새로 만들기를 눌러버린다든가, 시스템 오류라든가 등등. 예시한 상황은 다소 극적인 경우가 많습니다만 한번 발생하면 자료가 사라지는 것은..
문득 드는 생각입니다만, HOWPC나 PC사랑 같은 예전 컴퓨터 잡지들은 월별로 적당히 테마를 꾸려 부록 CD를 줬었는데 12월 달이면 으레 컴퓨터 바탕화면을 크리스마스 분위기로 꾸미는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바탕화면을 루돌프가 끄는 산타 썰매가 지나간다든가, 바탕화면에 눈이 내려 창이나 시작 표시줄 위로 쌓인다거나, 바탕화면 테두리를 따라서 트리 장식용 전구들이 빛나는 등의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이었죠. 지금이야 컴퓨터의 하드웨어 스펙이 상당히 올라가서 시작프로그램 정리도 잘 안하고 지내지만, 당시에는 윈도우98에서 시스템 리소스를 조금이라도 더 확보해 보겠다고 아득바득 관리하던 때라 별다른 기능도 없는 그런 장식 프로그램들은 정말로 크리스마스 시즌때나 한번씩 설치했다가 시즌이 끝나면 바로 삭제하..
지난 23일 밤-24일 새벽 사이에 베네수엘라 윈도우/오피스 구매가 굉장히 핫했습니다. 거의 1/10도 안되는 가격으로 구입이 가능했었으니깐요. (아쉽게도 현재는 가격이 정정되었습니다.) 판매 가격이 가격이니 만큼 해당 건에 대해서는 사후지원 안되는 것 빼고는 사용에 전혀 문제가 없다라든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품 키를 일괄회수하고 환불이나 추가금액 결제를 할 것이다라든가 의견이 분분합니다만 일단 당면한 문제는 오피스 2016이 설치가 쉽지 않다라는 것입니다. 구매하신 분들의 반응을 보면, 받으신 제품 키에 따라 지역락이 걸려있거나, 운이 좋게도 바로 등록 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은데, 저는 운이 없는지 지역락이라고 제한이 떠서 아래의 방법으로 시도하였습니다. 1. 먼저 한국 오피스 계정으로 가서 키를 ..
보통 사용하는 인터넷 계정은 몇개나 될까요? 국내 주요 포탈, SMS, 음악/영화 등 각종 스트리밍 서비스, 만화/게임 등등 생각 나는 주요한 서비스만 세어보는데도 아마 열손가락/발가락이 모자라지 않을까 싶습니다. 좀 오래되긴 했지만, 10년 쯤 전에 Microsoft의 연구에 따르면 대략 1인당 25개 정도의 계정을 가지고 있다고 추산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더 많겠죠. 2015년 밑에 나올 dashlane의 블로그에서는 1개 e-mail 계정당 90개 정도로 생각하고 있군요. 이렇게 계정이 많아질 수록 관리해야하는 계정명과 암호를 외우는데 어려움이 증가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편의를 위해 단일한 암호를 유지한다면 반대급부로 보안위협이 증가하겠죠. 그래서 중요한 계정에는 다른 계정명과 조금 더 복잡한 암호..